top of page

​"세상에는 종종, 자신을 아끼면서는 도저히 이룰 수 없는 일들이 있지. 우린, 그런 일들을 도맡는 사람들이야.

목숨이 아깝거든, 괜히 발 붙일 생각 마. 목숨을 넘어 평범마저 포기해야할 수도 있는, 그런 곳이니까."

殺父契

​살부계

살부계는 국가정보원 산하 비공식 첩보 조직으로, 현재는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수호하고 나라의 명령과 임무를 받아 수행함으로서 대한민국의 안보를 지키는 데에 일조하고 있지만, 살부계가 정부와 합심하여 그 지원을 받게 된 것은 불과 근 7년 내의 일로, 과거 정부와 손을 잡기 전까지는 그 목적과 의미가 현격히 달랐다고 한다.

 

본래 소수정예였던 살부계 조직원들이 각각 다수의 인원을 갖춘 "팀"의 형태로 나뉘게 된 것또한 정부의 지원을 받기 시작한 이후에 생긴 변화 중 일부이며, 국정원에서 파견된 조직원들을 제외, 각 팀의 팀장들은 모두 순수 살부계원으로, 조직이 정부와 손을 잡기 이전부터 조직원으로서의 활동을 이어오던 정예들이다. 그들은 엄연히 팀을 맡게 된 지금까지도 종종 개인 임무를 맡아 수행하고는 한다.

공식적인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 살부계원들의 활약상 및 임무, 활동 일체는 철저하게 국가 기밀 사항으로 외부의 접근이 제한되며, 신문이나 뉴스, 인터넷 기사 등 일반 대중들에게 공개된 언론 매체에는 전혀 보도되지 않는다. 정부에서조차 살부계의 존재를 아는 것은 대통령을 비롯하여 극소수의 인원들 뿐, 나머지 구성원들은 살부계의 존재마저 알지 못한다.

​각종 테러 단체, 범죄 조직 등에서는 암암리에 살부계의 존재를 눈치 채고 그들 조직과 구성원들에 대한 정보를 갈망하고 있으나, 아직까지 단 한 번도 살부계원들의 신원과 조직의 근거지에 대한 정보는 시장에 풀린 적이 없다. 단 하나, 누구의 것인지 모를 코드네임 "하와이 피스톨" 만이 외부에 노출된 상황으로, 그마저도 신원을 파악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의견.

살부계의 조직원이 임무 중 전사하였을 시, 해당 전사자의 가족에게는 발신자를 알 수 없는 편지가 한 통 은밀히 전달된다. (우체국을 통하지 않는다) 편지 속엔 퇴직금 명목의 돈이 동봉되어 있으며, 정작 용건을 설명하는 편지는 들어있지 않다. 전사자에게 가족이 없거나 파악되지 않을 땐 따로 편지를 보내지 않고, 조직 내에서 장례를 치뤄준다. 화장된 유골은 보통 수장되나, 간혹 전사자가 유언을 남기고 죽었을 경우엔 그를 따르기도 한다.

​본 이벤트에 등장하는 모든 배경, 시대적 상황, 정치적 이해관계, 인물 등은 "픽션" 임을 밝힙니다.

  • Grey Facebook Icon
  • Grey Instagram Icon
  • Grey Vimeo Icon
bottom of page